늘 참을 찾고 살아온 들사람


자유게시판(회원)

[통일] 2. 함석헌기념사업회 통일협의회 구성제안 (목성균)

목성균
2024-08-06
조회수 34

함석헌기념사업회 통일협의회 구성제안


함석헌기념사업회 통일협의회 구성 - 1

안녕하세요? 지난 수요일 올린 글에서 통일협의회를 구성하고 운영하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모임은 통일과 협의회로 간략하게 하였습니다. 먼저 이 협의회가 통일을 협의하자는 것인데 그럼 왜 통일을 생각할 필요가 있는지 생각하였습니다. 통일협의회를 구성하고 운영하려는 뜻은 이 시대의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는 원인이 잘라진 등뼈에 기인하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이 잘라졌으면서도 생존을 위해 아직 가늘게 남아있는 신경 마디를 연결하는 일부터 시작하자는 데 있습니다.

많은 단체들이 통일을 생각하며 통일을 위한 행동을 하고 있지만, 통일은 우리 삶의 중심인 정신을 뿌리로 하지 않고서는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입니다. 국가, 지역, 종교, 정치, 경제, 사상, 성향(보수·진보)로 갈라진 우리 사회를 통일하기 위해서는 그 관념들을 만든 근원의 정신에서 우리의 현상을 보아야 그 방안이 나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것도 우리 시대, 분열보다는 통일을 바라는 우리들이 가야 할 길이라 믿고 나아가려 합니다.

이달 말까지 협의할 내용들에 대해 조사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할 일들에 대한 순서를 정하려 합니다. 조사의 시작은 함선생님의 글 중 통일에 관해 쓰신 글부터 시작하려 합니다. 다음은 현 기념사업회 부설기관에서 출판하고 발표하였던 자료 중 통일 관련 내용을 조사하겠습니다. 다음은 현 정회원님 들이 참여하시는 단체의 통일 관련 내용을 조사하겠습니다. 범위를 좀 더 넓혀 국내외 싱크탱크의 통일 관련 글도 조사하려 합니다. 조사는 적절한 분석과 함께 하여야겠지요.

현재는 기념사업회의 각 부설 기관이 씨알정신 관련 주제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문제는 그 글을 쓰고 발표하는 사람은 제한되어 있고 우리 더 많은 씨알들은 그 내용을 보고 새기는 정도라는 것입니다. 함선생님이 우리에게 준 사명은, 스스로 함입니다. 남의 이야기를 듣고 음미하기보다는 부족하고 서툴고 막된 생각이라도 내 생각을 이야기하고 내 글을 쓰는 것이 씨알의 할 일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모임은 씨알의 공부 모임이며 이 씨알의 뜻이 세상을 변화하는 일익이 되기 바라며 통일협의회를 운영하려합니다.

현재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함석헌기념사업회의 홈페이지에 함선생님의 글이 올려져 있습니다. 이전 사무국장이고 함선생님의 외손자인 정현필선생님이 정성으로 종이 글자를 전자 파일화 하여 올린 것입니다. www.ssialsori.org 입니다. 여기 수록된 것보다 많은 글이 정현필선생님 개인이 운영하는 사이트인 www.ssialsori.net 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기념사업회의 홈페이지 글 중 제목으로 “통일”이란 단어를 검색하였더니 아래와 같이 8개 글이 나왔습니다. 내용과 제목을 함께 검색하였더니 154개의 글이 나왔습니다. 이것이 함선생님이 통일에 대해 직접 쓴 글들입니다. 물론 통일이라는 단어 외에도 평화, 민족, 세계 등의 관련 단어들도 통일과 관련될 수 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범위를 통일이라는 주제어로 만 검색하려 합니다. 일단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함선생님의 통일이란 단어가 포함된 글 8개를 소개합니다. www.ssialsori.org 에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1. 민족 통일의 종교, 사상계 1961년 3월 92호

2. 준비 없는 통일 말하지 말라, 올 다이제스트(1964. 12월)

3. 민족 통일의 길, 씨알의소리 1971.9월 4호

4. 민족통일의 구상, 민족통일을 위한 토론회, 1972. 7. 31(月) 오전 11시, YMCA 8층 식당

5. 민족통일을 위한 대담, 씨알의소리 1972년 9월 14호

6. 민족통일의 전망, 씨알의소리 1972년 10월 15호

7. 80년대의 민족통일의 꿈을 그려본다(1980년 2월 6일 YWCA 수요강좌) 씨알의소리 1980. 3월 92호

8. 남북통일 평화적 방법밖에 없다, 통일 43호 1985.4

 

통일협의회는 씨알을 생각하는 분들에게 함께 공부하는 모임이 되려 합니다. 간단한 자기 생각을 글로 표현하여 올릴 수도 있고 정기/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대면/비대면 모임에서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저 맨 씨알의 글과 말을 환영합니다. 물론 전문적인 글도 함께 공부할 수 있겠지요.

- 목성균, 2021.12.2


함석헌기념사업회 통일협의회 구성 - 2

안녕하세요? 통일협의회에 대한 2번째 글입니다. 제가 학자로서의 공부는 해보지 못했습니다. 대학을 마친 것이 다 이기에 보통 석사 이후에서 쓰는 학위 논문은 쓰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연구(硏究)의 硏은 (무언가를) 간다는 뜻이고 究는 穴(구멍 혈)과 九(아홉 구, 팔 구부림)으로 이루졌으니 구멍을 찾아감이란 뜻이라 합니다. 전체 뜻은 구멍(진리)을 온 힘을 다해(갈고) 찾아가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정성이 있다면 연구라 할 수 있기에, 먼저 통일협의회를 연구하고 실행하는 그림을 그려보았습니다.

[그림] 함석헌기념사업회 통일협의회 연구·활동체계

 

이 체계는 우리 몸의 안팎과 같이 무엇이 먼저라고 할 수 없으나, 시작은 연구를 먼저 하면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무모함을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각 그림에는 번호를 부여하였습니다. 도서관에서 책의 번호를 부여하여 방대한 책을 운영하듯이, 함석헌기념사업회를 중심으로 하여 번호를 부여하였습니다. 이 번호 체계는 2수준, 3수준으로 더 상세화할 수 있고, 우리의 생각을 체계화 함으로서 연구 시 발생할 수 있는 누락과 중복을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전체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일단 연구 체계 중 0번 “함석헌 저술 중 저는 8개 글을 소개하였는데, 김관호선생님이 통일이란 제목은 아니어도 함선생님이 통일에 대해 절실하게 쓰신 글 6개를 찾아 저에게 전했습니다. 이 6개 글을 일전의 통일 제목 글 8개 글과 함께하여 14개 글 제목을 년도 순으로 다시 올립니다. 이것이 우리 통일 연구의 잠정적 1차 자료입니다.

 

1.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사상계》 통권 제61호, 1958년 8월

2. 〈민족 통일의 종교〉, 《사상계》 통권 92호, 1961년 3월

3. 〈우리의 살 길〉, 《생활철학》, 일우사, 1962년

4. 〈새해의 말씀〉, 《동아일보》, 1964년 1월

5. 〈준비 없는 통일 말하지 말라〉, 《올 다이제스트》 1964년 12월

6. 〈민족 통일의 길〉, 《씨알의소리》 통권 4호, 1971년 9월

7. 〈우리나라의 살 길〉, 《씨알의 소리》 통권 제6호, 1971년 11월.

8. 〈민족통일의 구상〉, 민족통일을 위한 토론회 YMCA 8층, 1972년 7월 31일

9. 〈5천만 동포 앞에 눈물로 부르짖는 말〉, 《씨알의 소리》 통권 제14호, 1972년 9월

10. 〈민족통일을 위한 대담〉, 《씨알의소리》 통권 14호, 1972년 9월

11. 〈민족통일의 전망〉, 《씨알의소리》 통권 15호, 1972년 10월

12. 〈민족노선의 반성과 새 진로〉, 《씨알의 소리》 통권 제13호, 1973년 8월

13. 〈80년대의 민족통일의 꿈을 그려본다〉, 1980년 2월 6일 YWCA 수요강좌, 《씨알의소리》 통권 92호 1980년 3월

14. 〈남북통일 평화적 방법밖에 없다〉, 《통일》 43호 1985년 4월

 

2차 자료는 현재 7호까지 발간된 《함석헌 연구》지를 들 수 있는데, 다음 3가지 글을 우선 아래와 같이 들 수 있습니다. 이외 씨알학당에서 발표된 글과 함께, 함석헌기념사업회가 아닌 함석헌학회나 씨알재단에서 발표한 글들도 2차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들은 점차 연구모임이 구성되면 찾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외 연구 체계도의 3번부터 9번까지에 대해서도 통일 관련 자료를 점차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김상봉, 〈함석헌과 남북 통일의 철학〉, 《함석헌 연구》 제1권, 2010년 4월 19일.

2. 정지석, 〈함석헌 평화통일 사상〉, 《함석헌 연구》 제4권, 2013년 12월 31일.

3. 김삼웅, 〈함석헌과 장준하―민주화와 평화통일의 실천〉, 《함석헌 연구》 통권 제6권, 2019년 3월 13일.

 

이제 우리가 다음 생각하여야 할 일은 통일협의회의 활동과 참여인원입니다. 씨알사상연구원, 씨알의소리, 씨알출판문화원의 활동과 어떻게 연계 협력할 것이고, 각 부설기관 활동에 참여하는 분들의 참여 범위입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통일협의회는 특정 부설기관이나 위원회에서 운영하는 것이 아닌, 통일이라는 주제에 특화하여 협의하는 씨알 모임입니다. 각 부설기관은 통일 문제 외에 다양한 주제로 연구하고 출판하고 대내외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씨알모임은 각 부설기관들이 수행하는 활동과 연계하여 상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상호 촉진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통일협의회의 참여인력의 범위는 정회원 만이 아닌 전체 회원으로 확대할 수 있고, 나아가 기념사업회의 회원이 아니라도 참여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대표적으로 월 회비를 내지 않고 있지만 기념사업회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젊은 씨알이나 여성 씨알들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점차 의논하면서 구체화 해야 할 것입니다. 나아가 맨 땅에서 시작하는 것이기에 추진력을 갖기위해 이사장이 간사 역할을 하겠다고 하였지만 어느 정도 통일협의회 씨알모임이 구성되고 추진 체계와 동력이 구비된다면 헌신하실 수 있는 다른 분이 맡으셔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목성균, 2021.12.9


함석헌기념사업회 통일협의회 구성 - 3

위에 서명하신 많은 분의 뜻이 정치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를 저도 바랍니다. 그리고 이 바람에 더하여 함석헌기념사업회에 참여하고 있는 우리는 우리의 일을 또한 하여야 할 것입니다. 지난 주 목요일(12/9) 통일협의회에 대해 2번째 글을 올렸는데, 오늘 3번째 글을 올립니다. 2번째 글에서 올린 연구체계 용어를 편하게 수정하여 다시 올립니다. 그리고 연구체계번호는 앞에 연구(Research)를 뜻하는 R로 시작합니다.

우린 살아오면서 직관과 분석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이 용어는 관념과 경험으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앞에 노명환 선생님은 직관입니다. 바로 서술 없이 새와 직통합니다. 그런데 그 자리에 가기까지는 여러 경험과 분석이 있으셨을 것입니다. 함석헌선생님의 글과 말은 대개 직관이시지만 우리가 알도록 분석 방식으로 자상한 설명을 하시기도 합니다.

제가 이렇게 통일에 대해 10가지 대분류와 하위항목으로 분류한 것은 현재 통일을 위해 연구하고 행동하는 경험의 모습을 나열한다면, 우리들이 협력하여 갈 길을 의논하면서, 취사선택과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함선생님에게 배운 것은 남을 추종하지 말고 스스로 판단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초안으로 선정한 내용도 따라서 우리가 스스로 판단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한 것에 불과합니다.

일단 연구부터 시작하고 행동을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협의회에 참여하겠다는 분들이 모이기 위해 운영방안을 다음 4번째 글에서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번 3번째 글에서는 연구체계 2~3수준까지 분류하고 각 하위항목에 대해 한 줄 설명을 부가하였습니다. 그럼 하위 항목을 설명드리기 전에 이 각 조직에 이미 관여하고 계신 분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는 이 통일을 위해 연구하고 행동하는 분들이 다른 사람들이 아니라 이미 우리 정회원님 안에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자 함이기 때문입니다. 연령 순으로 기록합니다. 존칭은 생략합니다.

 

R9. 해외 통일관련 연구조직

­ [해연]코리아 소사이어티(Korea Society) (김해암 고문)

[해연] CSIS 내 한국부서 Korea Chair (김해암 고문)

R7. 국내 통일관련 조직

­ (사)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이부영, 명예 이사장)

R6. 국내 통일지향 조직

­ [협의]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조헌정, 서울본부 상임대표)

­ [민간]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조헌정, 상임공동대표)

­ [협의] 겨레하나: 평화통일 전국조직 (김은경, 전북겨레하나 이사장)

­ [민간] 통일민주협의회 (강춘근,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R0. 함석헌 글과 말(잠정 14개)

­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사상계》 통권 제61호, 1958년 8월

­ 〈민족 통일의 종교〉, 《사상계》 통권 92호, 1961년 3월

­ 〈우리의 살 길〉, 《생활철학》, 일우사, 1962년

­ 〈새해의 말씀〉, 《동아일보》, 1964년 1월

­ 〈준비 없는 통일 말하지 말라〉, 《올 다이제스트》 1964년 12월

­ 〈민족 통일의 길〉, 《씨알의소리》 통권 4호, 1971년 9월

­ 〈우리나라의 살 길〉, 《씨알의 소리》 통권 제6호, 1971년 11월.

­ 〈민족통일의 구상〉, 민족통일을 위한 토론회 YMCA 8층, 1972년 7월 31일

­ 〈5천만 동포 앞에 눈물로 부르짖는 말〉, 《씨알의 소리》 통권 제14호, 1972년 9월

­ 〈민족통일을 위한 대담〉, 《씨알의소리》 통권 14호, 1972년 9월

­ 〈민족통일의 전망〉, 《씨알의소리》 통권 15호, 1972년 10월

­ 〈민족노선의 반성과 새 진로〉, 《씨알의 소리》 통권 제13호, 1973년 8월

­ 〈80년대의 민족통일의 꿈을 그려본다〉, 1980년 2월 6일 YWCA 수요강좌, 《씨알의소리》 통권 92호 1980년 3월

­ 〈남북통일 평화적 방법밖에 없다〉, 《통일》 43호 1985년 4월

 

R1. 함석헌·씨알 연구(잠정 3개)

­ 김상봉, 〈함석헌과 남북 통일의 철학〉, 《함석헌 연구》 제1권, 2010년 4월 19일.

­ 정지석, 〈함석헌 평화통일 사상〉, 《함석헌 연구》 제4권, 2013년 12월 31일.

­ 김삼웅, 〈함석헌과 장준하―민주화와 평화통일의 실천〉, 《함석헌 연구》 통권 제6권, 2019년 3월 13일.

 

R2. 국내 인물 연구(잠정 18명)

­ 이승훈(1864~1930): 1907년 평북 정주 오산학교 창립자

­ 이승만(1875~1965): 1945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 김 구(1876~1949): 1919년 임시정부 참여, 1948년 남북협상

­ 안창호(1878~1938): 1907년 신민회, 1913년 흥사단 조직

­ 안중근(1879~1910): 1909년 이토 히로부미 사살

­ 조만식(1883~1950): 1945년 조선민주당 창당

­ 여운형(1886~1947): 1946년 좌우합작운동

­ 유영모(1890~1981): 1921년 오산학교 교장

­ 함석헌(1901~1989): 1970년 〈씨알의소리〉 창간

­ 김교신(1901~1945): 1927년 〈성서조선〉 창간

­ 김재준(1901~1987): 1953년 기독교장로회 설립

­ 김일성(1912~1994):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상

­ 박정희(1917~1979): 1961년 군사 쿠데타 집권, 5선 후 피살

­ 장준하(1918~1975): 1953년 사상계 창간, 1975년 거사 계획

­ 문익환(1918~1994): 1970년 공동번역참여, 1989년 북한 방문

­ 안병무(1922~1996): 1953년 평신도(향린)교회 설립

­ 문재인(1953~현재): 2017년 남한 대통령

­ 김정은(1984~현재): 2011년 북한 총비서

 

R3. 해외 인물 연구(잠정 11명)

­ 톨스토이(1928~1910): 1860년 농민학교 건립, 1899년 부활 집필

­ 우찌무라 간조(1861~1930): 1901년 〈무교회〉 창간

­ H.G.웰스(1866~1946): 1920년 세계문화사대계 집필

­ 마하트마 간디(1869~1948): 1920년 진리파지 불복종 운동

­ 떼야르 드 샤르댕(1881~1955): 1955년 ”인간현상“ 출간

­ 칼릴 지브란(1883~1931): 1923년 예언자, 1928년 사람의 아들 예수

­ 마오쩌둥(1893~ 1976):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 시진핑(1953~현재): 2013년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 조 바이든(1942~현재): 2021년 미국 대통령

­ 블라디미르 푸틴(1952~현재): 1999년 총리, 현재 대통령

­ 아베 신조(1954~현재): 2006년 총리, 2012~2020년 총리

 

R4. 국내 사회 연구(잠정)

R4.1 종교, 철학, 과학:

- [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민족종교(대종교, 동학, 천도교, 원불교, 증산교)

- [철학 씨알정신

- [과학] 디지털초혁신

R4.2 역사, 문화, 교육:

- [역사] 뜻으로본 한국역사

- [문화] 탄소중립인프라, 5대돌봄·격차해소

- [교육] 청년정책, 4대교육향상패키지, 씨알대안학교

R4.3 정치, 경제, 경영:

- 한반도 신경제구상(남한, 2018),

- 한국판 뉴딜: 디지털, 그린, 휴먼, 지역균형 뉴딜 10대과제(남한 2021)

- 경제건설총력집중(북한, 2018)

 

R5. 해외 사회 연구(잠정)

R5.1 종교, 철학, 과학

- [종교] 세계종교

- [과학] 4차 산업혁명

R5.2 역사, 문화, 교육:

- [역사] 뜻으로본 세계역사, 역사 연구(토인비)

- [문화] 한류

R5.3 정치, 경제, 경영:

- 일대일로(중국)

- 인도태평양전략(미국)

- 신동방정책(러시아)

- 초원의길(몽골)

- 호네부토((骨太)방침(일본)

 

R6. 국내 통일지향 조직(잠정 27개)

­ [정부] 통일부: 정부 부처,

· 통일 방안, 한반도 정책

· 남북교류협력

· 남북협력기금

· 북한이탈주민정책

· 개성공단

· 북한인권기록센터

· 국립통일교육원

­ [정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법」 제2조 기능 수행. 의장 대통령

­ [정부] 국립외교원: 외교부 산하 기관

­ [협의] 민화협(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1998년 출범(정당·종교·시민사회단체 협의체)

­ [협의] (사)통일교육협의회: 76개 통일지향 관련 단체 협의회

­ [협의]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조헌정, 서울본부 상임대표)

­ [협의] 겨레하나: 평화통일 전국조직, 2004년 설립 (김은경, 전북겨레하나 이사장)

­ [민간]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2013년 설립 (조헌정, 상임공동대표)

­ [민간] 통일민주협의회: 2000년 설립 (강춘근, 통일부 통일교육위원으로 참여)

- (재)한겨레통일문화재단: 1997년 재단설립(3만2천명 후원) 통일 한반도와 아시아 미래

­ (재)한국통일진흥원: 1997년 설립, 통일안보강연, 정부 지원금으로 운영되는 보수단체

­ (사)통일맞이: 1999년 설립, 칠천만겨레모임과 문익환목사기념사업회가 통합 재창립

­ (사)통일문화: 2020년 설립, (사)남북경제경영포럼에서 장관 변경

­ (사)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2000년 설립(남북불교 교류 및 인도적 지원사업)

­ (사)한민족통일여성협의회: 1991년 설립(국내외 협의회 및 지회 출범) 정부 지원 의존

­ (사)한국자유총연맹: 행안부 소관 안보운동단체, 1954년 창립, 현법인 1989년 설립

­ (사)평화통일시민연대: 2002년 설립. 2003년 민화협 가입, 평화연대포럼 정기 발표

­ (사)선진통일건국연합: 2011년 설립. 통일사업 활동과 통일대학 운영

­ (사)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1998년 설립. 농업, 보건의료, 어린이급식, 평화교육 외 사업

­ (사)새롭고 하나된 조국을 위한 모임: 1987년 설립, 통일교육 및 탈북민 정착 지원 사업

­ (사)민족통일협의회: 1981년 설립, 17 시도협의회, 활동이 없는 보수단체

­ (사)동학민족통일회: 1991년 설립, 정신개벽, 종교화합, 통일학교, 남북교류사업 활동

­ (사)평화통일단체총연합: 2017년 설립, 정부 후원 130개 단체 총연합 이나 활동이 없음.

­ (사)남북경협국민운동본부: 2007년 설립, 남북경제협력 촉진위한 제반 사업

­ (사)남북청소년중앙연맹: 2000년 설립, 교육, 통일인 육성, 통일문화예술 교류

­ (사)남북통일운동국민연합: 1987년 설립, 통일교 조직, 민족 화해 및 동질성 회복 운동

­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1997년 설립, 겨레사랑 정신으로 평화 통일 연구, 교육 및 실행

 

R7. 국내 통일관련 조직(잠정 18개)

­ (사)함석헌기념사업회: 1989년 창립, 1998년 법인 설립, 씨알의소리, 씨알사상연구원, 씨알출판문화원 부설기관 운영

­ 함석헌기념관: 2013년 도봉구와 유족·함석헌기념사업회 기념관건립협약 체결, 2015년 개관

­ 함석헌학회: 2010년 창립, 2018년 이후 휴식기를 거치다 2021년 활동 재개

­ 함석헌평화연구소: 2017년 설립, 함석헌학회의 연구를 심화하여 발전

­ (재)씨알재단: 2007년 설립, 류영모 함석헌 선생의 씨알정신을 널리 알리고 전파할 목적

­ (사)세계평화여성연합: 1992년 설립. 통일교 조직. 평화세계’를 위하여 UN과 국제협력

­ (사)평화한국: 2007년 설립. 우리민족 복음통일. 북한동포 비롯 국내외 소외계층 지원

­ (사)남북문화교류협회: 1993년 설립, 남북문화교류사업과 삶 동질성으로 민족 통일

­ (사)청소년통일문화: 2015년 설립, 통일세대 위해 통일공감교육, 리더스쿨, 교육강사양성

­ (사)겨레사랑복지협의회: 2004년 설립, 이산가족 교류, 탈북민 일자리 정착 지원

­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1949년 설립, 백범 김구사상 선양, 조국 통일 촉진

­ 백범김구기념관, 2002년 설립, 백범김구의 삶과 사상을 널리 계승, 발전

­ (사)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2006년 설립, 항일독립정신, 몽양사상 계승, 민족교육(이부영, 명예 이사장)

몽양기념관: 2011년 개관, 양평군 군립 기념관

(사)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1년 설립, 민주인권기념사업, 교육사업, 연구사업

­ (사)장공김재준목사기념사업회: 2000년 설립, 장공 선생을 바르게 자리매김, 계승 발전

­ (사)장준하기념사업회: 1999년 설립, 장준하 선생의 독립운동·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

­ (사)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2016년 설립, (사)통일의집. 민족 통일과 한반도 평화

 

R8. 국내 통일관련 연구조직(잠정 32개)

­ [출연] 통일연구원: 1991년 개원 국무총리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 통일 대북 정책 수립

­ [출연]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5년 설립, 국무총리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 26개 소관 연구기관

­ [출연] 한국개발연구원 (KDI): 1971년 설립, 정부출연 연구기관, 한국경제 구조개혁 선도

­ [출연]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1987년 설립, 정부출연 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 대안

­ [출연]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1990년 설립,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외경제 비전과 정책

(재)한국교육개발원: 1972년 설립, 한국의 전통과 현실에 부합하는 교육체제 구축

­ [출연] 산업연구원: 1976년 설립, 정부출연 연구기관, 기업 생산성과 국제 경쟁력 향상

­ [출연] 한국국방연구원: 1979년 설립, 국방부 산하, 합리적인 국방정책수립 및 의사결정

­ [출연]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1977년 설립, 국정원 산하, 한반도전략, 신안보전략

[정당] 민주연구원: 2010년 설립, 더불어민주당 정책 연구소, 『국가의 비전』을 제시

[정당] 여의도연구원: 1995년 설립, 국민의힘 정책 연구소, 자유와 보수 가치의 정립

­ (사)평화문제연구소: 1983년 설립, 통일원산하단체, 통일.북한문제 정책대안 연구

­ (사)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1991년 설립, 통일부 허가법인, 포럼 활동

­ (사)21세기안보전략연구원: 국방 안보 전략분석 연구, 보수 성격 기관

­ (사)한국평화연구학회: 2003년 설립, 통일부 산하단체, 평화학 연구 및 연대활동

­ (사)통일교육개발연구원: 2007년 설립, 평화통일 시대를 맞기 위한 통일의식 교육

­ (사)국학원: 2002년 설립, 뿌리정신 살리는 국학, 재외동포, 탈북민, 다문화 가정 지원

­ (사)전국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2010년 설립, 대학생 통일의식 고취 및 통일담론 활성

- ㈜삼성경제연구소(SERI): 1986년 설립, 민간 경제전문 싱크탱크

- LG경제연구원: 1986년 설립, 민간 경제전문 싱크탱크

- 현대경제연구원: 1986년 설립, 민간 경제전문 싱크탱크, 통일자료실 운영

­ 동아시아연구원: 2002년 설립, 아태 신질서의 군사, 경제, 에너지, 기술 무대 전망

­ 아산정책연구원: 2008년 설립, 민간 싱크탱크, 안보, 외교정책, 국내정치 연구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2015년 설립, 한겨레 경제와 사회정책 연구 통합.

- 한겨레평화연구소: 2008년 설립, (재)한겨레통일문화재단 산하 연구단체

- 통일문화연구소: 1996년 설립 중앙일보 부설, 통일문제연구소와 현대사연구소 통합

­ 평화통일연구소: 2004년 설립, 민족 자주와 통일에 관한 전문적 연구와 정책 대안

­ 단국대정책과학연구소: 1993년 설립, 학문과 지역사회발전에 기여, 남북통일 연구

­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1973년 설립, 북한 경제발전전략, 남북경협, 국제협력 방안

­ 경북대평화문제연구소: 1974년 설립, 한국의 평화적 통일 및 국가발전 연구

­ 원광대평화연구소: 한국의 평화적 통일 및 국가발전 연구

­ 통일교육위원중앙협의회: 1987년 통일부 훈령으로 설립, 통일교육위원 위촉(2년)

 

R9. 해외 통일관련 연구조직(잠정 10개)

­ 코리아 소사이어티(Korea Society): 1957년 설립. 미국과 한국 국민 간 이해 및 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미국 비영리단체 (김해암 고문 참여)

- 아시아 연구 협회(AAS;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1941년 설립. 처음은 동아시아 연구 목적이었으나 1970년에 전체 아시아로 확대 구성. 북한 연구자료도 등록됨.

­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 1916년 설립, 미국의 진보성향 정책 연구소

­ 헤리티지 재단(Heritage Foundation) : 1973년 설립, 미국의 보수성향 정책 연구소

­ 전략국제연구센터(CSIS;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1962년 설립,미국의 중도보수성향 정책 연구소, 2009년 한국부서 Korea Chair 신설(김해암 고문 참여), Japan Chair는 1981년, China Chair는 1992년부터 있었음.

­ 미국 진보 센터(CAP; The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2003년 설립, 미국의 진보성향 정책 연구소

- 중국사회과학원: 1977년 설립, 중국 정부 산하 정책 연구소. 37개 산하 연구소 있음.

­ 노무라종합연구소: 1965년 설립, 일본의 경영 컨설팅 연구소

-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 International Institution for Strategic studies): 1958년 설립, 영국 외교 분야 정책 연구소

­ 아데나워 재단 : 1950년대 초 설립, 독일 기독교민주당 지향 중도우파 정책 연구소

 

- 목성균, 2022.01.08